(110621)[보도자료] 국가인권위원회는 장애인 차별 대응을 위해 즉각 장애인 전담인원을 충원하라

  • [보도성명]
  • 장추련
  • 2011.06.20 10:06:03
  • https://www.ddask.net/post/545
  • Print

 

 

국가인권위원회는 장애인차별 대응을 위해 즉각 장애인 전담인원을 충원하라.

 

 

떨리는 목소리가 수화기에 전해온다. 억울함을 호소하는 장애인의 시정이 고스란히 수화기를 통해 전해진다. 이러한 아픔은 조용히 묻어두는 것이 아니라 적극 대응하고 진정한 사과를 받아야 상처가 치료 된다는 것을 안다. 그래서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을 하기로 하면서 순간 망설여진다. 차별 피해 장애인이 차별을 당하고 억울하여 상담전화를 찾을 때는 이미 많은 밤을 생각으로 보내고 결심하고 왔을텐데, 국가인권위에 진정하자고 권하기가 쉽지 않다. 진정하고 조사하고 시정권고가 내려지기까지는 너무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이러한 과정의 시간이 너무 오래 걸려 차별 피해 장애인의 상처는 치유되기보다 가슴 깊게 응어리가 져버린 상태가 되고, 반면 차별가해자는 언제적 얘기냐고 뒷북친다고 기억나지 않는다고 사건 조사가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는 상황이 되어 버린다.

 

이것은 순전히 국가인권위원회(이하, 인권위)가 장애인 차별에 즉각적이고, 안전하게 그리고 섬세하게 장애인 유형에 따른 특성을 고려한 조사가 이루어져야 하는데, 지금 인권위의 상황은 이러한 것을 전혀 기대할 수 없는 상태이기 때문이다. 인권위에 진정한 사건들의 진행을 상황을 문의하면 어김없이 기다리라고 한다. 인권위 장애인담당 직원들이 게을러서가 아니라 장애인차별 사건의 건수가 급속이 증가하고 있는 속도를 인권위가 따라가지를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 예로 2010625일과 2011127일 장애인차별금지추진연대에서 서울공공근린시설 모니터링 한 집단진정 한 사건진행도 1여 년이 되도록 조사가 끝내지를 못하고 있다.

 

차별시정기구인 인권위에 장애인 차별 진정 건수는 폭주하고 있다. 국가인권위원회 설립 이후 20084월 장애인차별금지법 시행 이전까지 접수된 진정건수는 모두 630건에 불과했으나, 20084월부터 12월까지 총 645, 2009년 한 해에만 총 745건이 접수되었다. 장애인차별금지법 시행 이후 진정사건이 거의 9배에 해당 된다(국가인권위원회 2010).

더구나 관련 업무를 진행할 인력이 적어 허덕이는 국가인권위원회에 장애인차별 진정 건수는 장기미제 사건으로 쌓여만 가고 있다.

이것은 심각하게 장애인차별시정 기구로서 인권위는 책임을 방기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은 일찍이 장애인은 예상했었던 상황이다.

2008년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 (이하, 장애인차별금지법)이 시행되기 시작한 후, 장애인차별금지법의 시정기구인 국가인권위원회의 역할은 장애인차별을 금지하는데 중요하게 되었다.

 

장애인차별금지법 시행령을 만들 때 분명 했던 약속이 있었다.

20074월 장차법이 공포된 이후 장애인차별 진정에 관해 많은 인력이 소요될 것이라는 예상으로 여러 전문가들의 의견을 모아 국가인권위원회 행정인력 65명 증원을 요청했으나, 당시 행정안전부는 20여명으로 축소하여 확정했고, 이는 국회 예결위를 통과하였다. 당시 행정안전부는 20명으로 확정하자며, 장차법 시행에 따른 인력 수급 확충은 일 년 간 장차법 시행 경과를 지켜본 후에 결정하자며, 믿어달라고 했었다.

 

그러나 2009년 이명박 정부가 들어서서 20명 인력 확충 계획조차도 없었던 일이 되었다 정권이 바뀌었다는 이유로 하루아침에 손바닥 뒤집듯이 뒤집은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장애인은 실망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유는 장애인차별금지법 시행을 위한 20명 인력 확충 계획은 다름 아닌 행정안전부(당시 행정자치부)가 확정하여 국회에서 의결까지 거친 사안이었다 이런 행안부가 행정부처로서 국회 의결사항까지 뒤집는 사태가 일어난 것이었다.

현재까지도 장애인차별금지법 장애차별 전담 인력 20명 확정이 현 정부 들어서서 아예 없었던 일이 돼 버렸고, 시행 3년을 훌쩍 넘긴 상태에서도 이렇다 할 움직임이 전혀 없었다.

 

그러나 이제는 더 이상 기다릴 수가 없다.

장애인의 억울한 차별사건을 인권위에 언제까지나 끝없이 기다려 달라는 말을 들을 수는 없다. 사건해결의 속도와 장애유형 특성에 따른 차별을 충분히 고려한 해결을 위해서라도 인권위 인원충원을 요구한다.

 

장애인의 차별에 대한 민감성은 빠르게 상승되어가고 그만큼 차별 진정 건수도 증가할 것임은 누구도 예상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을 인권위가 지금처럼 따라가지 못한 상태가 계속 된다면 장애인은 기다리고만 있지 않을 것이다. 그것은 곧 장애인이 차별받지 않겠다고 열망하여 제정한 장애인차별금지법이 무력화 되는 상태를 초래하게 될 것이고 그 책임은 인권위에 있기 때문이다.

장애인의 차별시정기구로서 책임을 다하길 480만 장애인은 끝까지 지켜볼 것이다.

 

국가인권위원회는 차별 받은 장애인의 고통 앞에서 무기력함으로 기다리라고 하지마라.

 

국가인권위원회가 장애인차별시정기구로서 책임을 다 하라.

 

국가인권위원회는 즉각 장애인 전문 담당 인원을 충원하라.

 

 

2011. 6. 21

 

 

장애인차별금지추진연대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공지 [2025년 월간 장추련 9월호] 지난 여름은 뜨거웠습니다. ddask 2025.09.04 18:28:09 1,129
525 문서 방송 3사, 클릭하니, 온통 차별의 벽(방송3사 웹접근성 집단진정인 모집) 장추련 2010.08.26 13:19:57 6,938
524 보도성명 [보도요청]방송3사 웹접근성 집단진정 보도요청 장추련 2010.08.26 13:17:12 6,032
523 보도성명 장애인권리옹호체계 찾기 토론회 장추련 2010.08.17 22:09:01 6,614
522 보도성명 정신적 장애인 간접차별 대응 성과 장추련 2010.08.16 20:14:02 7,068
521 보도성명 정신적 장애인 보험차별 구제청구소송 제기 기자회견 보도자료 장추련 2010.07.27 16:09:35 7,530
520 보도성명 정신적 장애인 보험차별 구제청구소송 제기 기자회견 보도자료 장추련 2010.07.27 16:09:35 7,567
519 문서 장애인차별상담전화 1년... 장추련 2010.07.23 14:16:33 7,636
518 문서 장차법모니티링체계구축연구(복지부-2009) 장추련 2010.07.22 14:23:18 7,283
517 문서 대구장애인차별금지조례제정안(초안) 장추련 2010.07.20 21:40:46 7,440
516 문서 발달장애인의 등급제 장추련 2010.07.20 08:24:37 6,221
515 보도성명 정신적 장애인 보험차별 구제청구소송 제기 장추련 2010.07.16 16:22:32 6,653
514 문서 안태성교수 행정소송 승소 장추련 2010.07.14 10:31:32 5,957
513 보도성명 [복지부]장애인차별금지법이행모니터링보도자료 장추련 2010.07.09 15:09:49 6,935
512 보도성명 [복지부]장애인차별금지법이행모니터링보도자료 장추련 2010.07.09 15:09:49 6,881
511 문서 보험법상 장애인차별에 관한 검토 - 김선광(원광대 법학전문대학원) 장추련 2010.07.09 14:51:20 7,226
510 문서 장애인차별금지법 모니터링 필요성(한국장총) 장추련 2010.07.08 16:05:39 6,619
509 보도성명 시각장애인은 업무하기 힘들다? 인권위 진정 보도자료 장추련 2010.07.08 10:44:25 6,641
508 보도성명 시각장애인은 업무하기 힘들다? 인권위 진정 보도자료 장추련 2010.07.08 10:44:25 6,741
507 보도성명 정신병원 직원에 의한 정신장애여성 성폭력 사건에 대한 기자회견 보도자료 등 장추련 2010.07.02 11:32:27 7,258
506 보도성명 정신병원 직원에 의한 정신장애여성 성폭력 사건에 대한 기자회견 보도자료 등 장추련 2010.07.02 11:32:27 7,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