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425 보도자료_4월28일 조사관에 의한 성폭력 사건 묵인한 제주장애인권익옹호기관과 보건복지부 규탄 기자회견

  • [보도성명]
  • ddask
  • 2025.04.26 08:17:57
  • https://www.ddask.net/post/2571
  • Print
첨부파일

보 도 자 료

 

수 신 각 언론사 담당 기자

발 신 장애여성공감, 장애인차별금지추진연대

문의 : 장애여성공감 사무국장 유진아 010-5037-0328

장애인차별금지추진연대 이승헌 010-7479-1040)

 

권익옹호기관 조사관에 의한 성폭력 사건 묵인한

제주장애인권익옹호기관과 보건복지부 규탄 기자회견

 

 

1. 귀 언론사의 민주적 발전을 기원 드립니다.

 

2. 지난 325, 장애인 학대 예방과 피해자 지원을 위해 설립한 제주장애인권익옹호기관의 조사관에 의한 성폭력 사건이 언론보도를 통해 알려졌습니다. 이는 조사관이 지원자의 권한과 위치를 심각하게 이용한 사건입니다. 따라서 장애인권익옹호기관의 전면적인 운영개혁과 보건복지부가 옹호기관의 제도 운용에 대한 점검 및 재발 방지, 권리증대를 위한 실질적인 대책을 적극적으로 마련하도록 요구하는 규탄 기자회견을 하고자 합니다.

 

3. 귀 언론사의 많은 관심과 보도 요청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권익옹호기관 조사관에 의한 성폭력 사건 묵인한

제주장애인권익옹호기관과 보건복지부 규탄 기자회견

 

일시 : 2025428() 오후 2~3

장소 : 정부서울청사 본관 앞

공동주최 : 제주장애인권익옹호기관성폭력사건공대위, 장애여성공감, 장애인차별금지추진연대, 전국성폭력상담소협의회, 전국여성장애인폭력피해지원상담소및보호시설협의회, 한국여성장애인연합

 

기자회견 순서

사회

- 유진아 (장애여성공감 사무국장)

발언

- 진영림(제주장애인권익옹호기관성폭력사건공대위)

- 진성선(장애여성공감 장애여성독립생활센터숨 팀장)

- 배수지(한국여성장애인연합 전남지부 부설 성폭력상담소 소장)

- 이진희(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성평등위원장)

- 박김영희(장애인차별금지추진연대 상임대표)

성명서 낭독

기자회견 후 보건복지부 면담요청서 제출

 

 

공동 성명문

 

장애인권익옹호기관 조사관에 의한 성폭력 사건

제주장애인권익옹호기관과 운영법인

제주장애인권포럼은 책임 있게 대응하라!

 

장애인 인권침해 피해자에 대한 실효성 있는 지원을 위해 보건복지부, 여성가족부는

장애인권익옹호기관 운영 개편과 지원에 즉각 나서라!

 

지난 325, 장애인 학대 예방과 피해자 지원을 위해 설립한 제주장애인권익옹호기관(이하 옹호기관)의 조사관(이하 조사관)에 의한 성폭력 사건이 언론보도를 통해 알려졌다. 옹호기관은 장애인복지법 제59조의11(장애인권익옹호기관 설치 등)에 근거하여 장애인 학대 조사 및 상담 등을 주요 업무로 삼고 있으며 2017년 전국 20여 곳에 위탁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피해 장애인의 보호 및 피해 회복을 위해 지원해야 할 옹호기관의 조사관이 지원자의 권한과 위치를 이용한 심각한 사건이 발생하였다. 이에 옹호기관과 운영법인에 그 책임을 묻고, 보건복지부와 여성가족부가 인권침해 지원 현장에서 해야 할 역할을 요구한다.

 

해당 사건이 경찰신고를 통해 드러나고 언론에 보도된 후 옹호기관과 운영법인인 제주장애인권포럼은(이하 인권포럼) 조사관 개인의 일탈로 치부하며 조직적 책임을 외면하였다. 경찰 사건 접수 이후 옹호기관과 인권포럼은 조사관을 업무에서 배제하고 징계위원회를 열어 파면 조치를 진행했지만 당연한 징계 조치가 책임의 끝은 아닐 것이다. 지원자와 내담자 관계에서 어떠한 불평등한 위계가 발생했는지, 이를 관리·감독해야 할 조직의 운영구조와 역할에서 무엇이 부족했는지에 대한 성찰과 반성 속에서 재발 방지대책 논의와 공식적인 사과의 입장을 밝혔어야 한다. 장애여성 피해자들은 미성년자로 법적 보호자에 의한 방임 및 방치 등의 학대 혐의로 옹호기관의 지원을 요청했다. 조사관은 원가족과 주변인의 조력을 받기 어려운 열악한 피해자의 주변 상황을 충분히 인지할 수 있는 위치였고, 이를 철저히 이용하였다. 심지어 가장 안전하고 평등한 공간이어야 할 옹호기관의 상담실에서 지원을 받던 중 성폭력 피해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가해자의 거리낌 없는 폭력적인 행위가 가능한 상황에 대해 옹호기관은 개인의 일탈만으로 설명해선 안 된다.

 

옹호기관과 인권포럼은 장애여성의 재피해가 피해자를 지원하는 기관에서 발생한 점에 대해 책임감을 통감하고 조직적 책임을 충실히 이행해야 하지만 해당 사안을 방관하였다. 사건이 알려진 지 채 한 달이 지나지 않아 옹호기관 관장은 사직서를 제출하였으며, 조사관 징계와 파면 결정 이후 어떠한 조직적 성찰과 반성의 입장이 없다. 지난 328일 제주시민사회단체 및 피해자지원단체는 <제주장애인권익옹호기관의 장애인 성폭력을 규탄한다> 공동성명을 발표하며 옹호기관, 인권포럼, 제주도청, 보건복지부의 책임감 있는 태도를 요구하였으나 어떠한 답변도 받지 못하였다. 사건에 대해 가장 큰 책임과 역할을 수행해야 할 인권포럼은 옹호기관 관장의 사직서를 수리함으로써 책임 회피를 묵인하며 동참한 셈이다. 장애인 인권에 가장 앞장서 활동해야 하는 인권포럼이 면피용 조치에 그쳐서는 안 된다. 지역사회에서 영향력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인권운동을 해왔고 앞으로도 역할을 다해야 할 인권포럼은 조직적 점검과 반성을 통해 사건 해결의 최전선에 서서 책임을 다하여야 한다.

 

옹호기관의 관장 사직과 운영법인의 무응답이라는 답보 상태에서 지난 417일 제주도는 옹호기관 운영 위탁기관 공개모집 공고를 발표했다.1) 그러나 해당 사건은 장애인 옹호기관 운영 기관 변경으로 해소될 문제가 아니다. 지난해 보건복지부는 제주장애인옹호기관을 전국 첫 성과 평가에서 최우수 기관으로 선정하였다. 보건복지부가 선정한 최우수 기관에서 조사관에 의한 성폭력 피해가 발생한 것이다. 이번 사안을 통해 보건복지부는 옹호기관 운영을 각 지자체의 몫으로, 위탁 수행하는 기관의 책임으로 두었을 때의 한계를 바라보아야 한다. 2인 상담체계의 원칙이 지원 현장에서 왜 지켜지지 못했는지, 옹호기관 운영에 있어 인권적인 관점이 충분히 반영되고 수행되는지에 대한 실질적인 점검과 지원이 필요하다. 그 속에서 보건복지부는 옹호기관의 제도 운용에 대한 점검 및 재발 방지, 피해자 권리증대를 위한 실질적인 대책을 적극적으로 마련해야 한다.

 

해당 사안이 언론에 알려지고 난 이후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예지 국회의원(국민의힘)은 권익옹호기관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한 장애복지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발의 하였다. 본 개정안은 권익옹호기관이 장애인복지시설로 분류되지 않아 전문성 있는 종사자가 부족하고, 내부 운영 시스템에 대한 견제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라는 평가 속에 권익옹호기관을 장애인복지지설 중 하나로 명시할 것을 밝히고 있다. 그러나 지역사회 및 사회복지 시설, 거주시설 내에서 발생하는 학대 행위를 조사, 지원하는 권익옹호기관이 사회복지서비스 기관으로 위치를 옮겼을 때 제대로 된 역할을 할 수 있을지 의문이 든다. 또한 해당 사안은 종사자의 전문성 및 관리 감독의 부실로만 설명될 수 없다. 상담 지원을 위한 최소한의 원칙이 지켜지기 어려운 운영 및 예산의 문제, 지자체-운영법인 위탁운영이라는 한계적인 방식, 학대에 대한 개별 권익옹호기관의 자의적 해석 등은 피해자를 수동적이고 서비스를 받는 시혜적 위치에 놓이게 만든다. 이러한 구조적인 문제를 외면한 채 안정적인 보조금 지원과 내부 운영시스템에 대한 견제로만 초점이 맞춰지면 권익옹호기관의 복지시설화를 초래하고 이는 결국 지역사회에서의 장애인 학대에 대한 견제와 감시의 독립성은 훼손될 것이다.

 

해당 사안에 여성가족부의 책임도 간과할 수 없다. 2024년 여성가족부는 통합이 트렌드라고 하며 젠더폭력 피해자들의 효율적 연계와 관리를 말하며 통합상담소로의 통합을 강행하였다. 일방적인 추진과정에서 피해자 지원 현장의 불안과 우려는 삭제되었다. 심지어 여성가족부 장관은 20242월 이후 현재까지 공석이며 그러한 가운데 젠더폭력 피해자 지원 예산은 100억원 넘게 무참히 삭감되었다. 장애아동 청소년 성인권사업 폐지, 치료회복 프로그램 예산 삭감, 고용평등상담실 폐지, 도서관 성평등도서 퇴출 사건 등은 우리 사회 만연한 구조적 차별 및 소수자들을 향한 시혜적이고 낙인화된 혐오의 시선을 강화하였다. 열악한 쉼터운영과 제한적인 지원, 학대에 이르러서야 인정되는 젠더폭력 피해자 지원체계의 한계 속에서 장애여성 지원은 옹호기관의 문제 혹은 장애계의 문제로만 설명되었다. 장애여성 피해자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체계 구축과 학대 및 젠더폭력 피해에 대한 폭넓은 관점이 바로 서지 않고서는 옹호기관에서 발생한 성폭력 사건은 일상의 곳곳에1) 제주특별자치도 공고 제2025-1418호서 반복될 것이다. 여성가족부는 여성, 장애, 이주, 퀴어 등 소수자들을 향한 차별과 혐오를 강화하는 구조를 더 이상 방치해서는 안 된다. 무거운 책임 속에서 젠더폭력 피해 지원 및 성평등 정책에 대한 실질적 구축체계를 반드시 만들어가야 한다.

 

 

2025428

 

제주장애인권익옹호기관성폭력사건공대위(평화민주인권교육인, 제주여성인권상담소, 시설협의회 17기관, 사회협동조합 트멍, 장애와인권발바닥행동, 전국장애인이동권연대제주지부, 아름다운청소년이여는세상, 전국장애인부모연대 제주지부, ) 제주아이 특별한아이, 별난고양이꿈밭 사회적협동조합, 행복하게사회적협동조합, 서귀포시장애인부모회), 전국성폭력상담소협의회(132), 전국여성장애인폭력피해지원상담소및보호시설협의회(32), 한국여성장애인연합 외 소속지부 및 회원단체(12)

 

가족구성권연구소, 강서가족상담센터, 고양여성민우회, 공익인권변호사모임 희망을만드는법, 교육노동자현장실천, 나야장애인권교육센터, 대구여성주의그룹 나쁜페미니스트, 동서울여성회,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 여성인권위원회, )부산성폭력상담소, )아름다운청소년이여는세상, )전국장애인부모연대, 성평등한 청소년인권실현을 위한 전북시민연대, 소년의서, 어울림, 연극연습프로젝트, 연극집단 공외, 인권운동사랑방, 장애여성공감, 장애인차별금지추진연대,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성평등위원회, 전북장애인차별철폐연대, 전북평화와인권연대, 중증장애인지역생활지원센터, 진해장애인자립생활센터, 창작공동체무적의무지개, 피플퍼스트서울센터, 학생인권법과 청소년인권을 위한 청소년-시민 전국행동, 한걸음더, 한국뇌병변장애인인권협회, 한국성폭력상담소, 한국여성민우회,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한국장애포럼, 한국피플퍼스트, 형명재단

240개 단체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공지 [2025년 월간 장추련 9월호] 지난 여름은 뜨거웠습니다. ddask 2025.09.04 18:28:09 1,454
1066 보도성명 [240220]_보도자료_발달장애인_유권자_누구나_참여할_수_있는_선거_모의투표_시행을_서울선거관리위원회에_… ddask 2024.02.19 18:40:27 1,571
1065 문서 230808_익명결정문지자체 운영 놀이시설의 청각장애인에 대한 이용 제한 ddask 2024.02.07 13:57:11 1,678
1064 문서 230808_익명결정문선거공보 등에 대한 시각장애인 편의 미제공 ddask 2024.02.07 13:57:01 1,616
1063 문서 230808_익명결정문정신의료기관의 입원환자 보호조치 미흡 ddask 2024.02.07 13:56:50 1,588
1062 문서 231101_익명결정문시설주의 장애인에 대한 승강기 이용 제한 ddask 2024.02.07 13:56:33 1,590
1061 문서 240116_장애아동 학교 복귀 불허한 외국인 학교 책임자 검찰 고발 ddask 2024.02.07 13:48:57 1,577
1060 문서 231017_선거 관련 정보 제공 시 시각장애인을 위한 정당한 편의 제공해야 ddask 2024.02.07 13:46:55 2,014
1059 문서 230911_국가공무원 공개경쟁 채용 시험 시 시각장애인 응시자에 대한 정당한 편의제공 기준 마련 ddask 2024.02.07 13:44:53 1,573
1058 문서 230908_휠체어 사용 장애인의 노인복지주택 동반입소 거부한 피진정회사, 시정 권고 불수용 ddask 2024.02.07 13:42:55 1,601
1057 문서 230829_금융회사에게 음성통화 외 청각_언어장애인용 비대면 본인인증 수단 마련 권고, 해당 회사 수용 ddask 2024.02.07 13:40:43 1,582
1056 보도성명 [231227] 보도자료_2024년 1월 2일 22대 총선 D-100일, 장애인 참정권 보장 촉구 기자회견 ddask 2023.12.26 22:39:40 1,759
1055 보도성명 [230419] 보도자료_서울시 장애인 콜택시 지적 뇌병변 중복장애인 단독탑승 거부 소장제출 기자회견 ddask 2023.09.05 18:51:44 2,053
1054 보도성명 [230816] 보도자료_발달장애인_참정권_차별구제청구소송_선고_기자회견 ddask 2023.08.14 15:13:45 2,105
1053 문서 20230728최혜영(장애인차별금지법 전면개정법률안)의안2123548 ddask 2023.08.02 15:17:52 2,215
1052 보도성명 [230728] 보도자료_장애인차별금지법 전면개정안 발의 기자회견 ddask 2023.08.02 15:14:43 2,152
1051 보도성명 [230721] 보도자료_정신장애인에 대한 화성시 공무원 임용차별 행정소송 2심판결 선고 기자회견 ddask 2023.07.20 17:36:25 2,208
1050 보도성명 [230710] 보도자료_서울시 장애인콜택시 불법녹음설치 인권위 기각결정 규탄 기자회견 ddask 2023.07.12 11:31:08 2,237
1049 문서 2023_장애인차별금지법_전면개정안 ddask 2023.05.12 11:58:27 2,413
1048 문서 230411_인권위_장추련_장애인차별금지법_15주년_개정할_결심_자료집 ddask 2023.05.12 11:56:02 2,382
1047 보도성명 [230510] 보도자료_특수교육대상자 초등학생에 대한 보조인력 미지원 차별 손해배상청구 선고 기자회견 ddask 2023.05.11 14:39:14 2,2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