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0919_성명서_고_김순석_열사_40주기_장애인을_가로막는_거리의_턱_접근권_보장촉구

  • [보도성명]
  • ddask
  • 2024.09.19 11:03:15
  • https://www.ddask.net/post/2512
  • Print
첨부파일

<성명서>

40년이 지나도 1층이 있는 삶을 거부당하는 휠체어

국가는 장애인의 접근권 즉시 보장하라 


접근권이 보장되지 않는 사회를 향해

자신의 죽음으로 권리를 외치던 

고 김순석 열사 40주기 

-국가책임에 대한 대법원 공개변론에 부쳐-

 

1984년 9월 19일 ‘도대체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주지 않는 서울의 거리는 저의 마지막 발버둥조차 꺽어놓았습니다. 시내 어느곳을 다녀도 그놈의 턱과 부딪혀 씨름을 해야합니다.(고 김순석 열사의 유서 일부분)’ 지체장애를 가지고 있던 34세의 청년 김순석은 이렇게 ’서울거리의 턱을 없애달라‘는 유서를 남긴 채 자신의 지하셋방에서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그리고 이제 처음 이동권과 접근권을 외치던 그의 죽음 이후 어느덧 40년이라는 시간이 흘렀다. 


그 사이 서울에는 123층짜리 초고층 건물이 지어지고, 24시간 영업으로 시간과 상관없이 필요한 물건을 구입할 수 있는 편의점 수는 올해 이미 5만개를 넘어섰다. 그리고 1인당 커피소비량이 500잔에 이르는 대한민국의 전국 5대 주요커피전문점 매장 수 역시 1만2천개가 넘어가고 있다. 하지만, 늘어가는 시설물의 수만큼 장애인이 이용할 수 없는 공간의 수도 함께 늘어나기만 할 뿐 새로 만들어지는 공간들은 대한민국 국민인 장애인의 접근을 여전히 허용하지 않는 장애인 접근불가 시설이 되고 있다. 


장애인의 접근권을 보장하기 위해 만들어진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약칭 : 장애인등편의법)이 처음 시행된 지 올해로 27년이 되었다. 그리고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약칭 : 장애인차별금지법) 역시 시행된 지 올해로 16년이 되었다. 이처럼 장애인의 접근권이 차별받지 않도록 하기위해 우리는 법을 만들었고 그 법들 역시 긴 시간을 보냈지만, 여전히 장애인은 원하는 곳에서 밥 한끼 차 한잔을 제대로 마시기 어려운 현실앞에 있다.  


고 김순석 열사의 외침 이후 우리는 매일같이 기본적인 이동과 접근조차 보장되지 않는 현실에 대하여, 가장 큰 책임과 의무를 가지고 있는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에 기본적인 평등권을 보장하라고 외치고 있다. 하지만, 우리의 외침에 뒷짐을 진채 그들은 사업주들과 건물주들의 경제적 어려움을 이야기하며 장애인의 불편함은 그냥 참고 견디라는 무책임한 이야기만 반복하고 있다.  


이에 2018년 장애인차별금지추진연대 등 장애인단체들은 1층조차 들어갈 수 없는 휠체어 사용 장애인의 보장되지 않는 권리에 대하여 소송을 제기하고 법원의 판단을 받아보기로 하였다. 장애인의 평등권을 보장하기 위해 만들어진 장애인차별금지법을 중심으로 장애인의 접근권을 제대로 보장하지 못하는 장애인등편의법의 문제에 대하여 국가 및 관련사업체에 책임을 묻기로 하였다. 그렇게 시작된 소송은 1심에서 일부업체와는 편의시설을 설치하기로 조정하는 것으로, 끝까지 소송을 진행했던 편의점 업체는 패소 이후 더 이상 항소하지 않고 편의시설을 설치하기로 결정하면서 결국 장애인의 접근권에 대한 의미있는 판결을 남겼다.   


하지만, 이 소송 과정에서 결국 1심 2심 법원은 피고인 대한민국의 책임을 묻지않았다. 장애인의 접근권과 관련해 가장 큰 의무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장애인의 권리를 외면한 채 차별상황을 묵인하고 오히려 잘못된 법체계와 시행령으로 장애인의 차별을 가중시키고 있는 국가에 우리는 손해배상을 요구하였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우리는 이제 대법원에 마지막 결정을 받아보기로 했다. 그리고 대법원은 국가의 접근권 보장 의무에 대하여 장애인에 대한 손해배상 책임을 이야기하는 공개변론을 진행하기로 하였다. 재판없이 법적인 판단만을 주로 하는 대법원의 공개변론 결정은 매우 드문 일이다. 장애인의 접근권과 관련하여 우리는 이제 대법원의 대법관들에게 직접 보장되지 않는 우리의 권리에 대하여 이야기할 것이다. 장애인의 접근권에 대하여 기본적인 평등권을 보장하지 않는 국가는 당연히 이에 대한 책임을 져야하며, 국민의 권리를 판단해야하는 법원은 이에 마땅한 판결을 해야한다. (대법원 공개변론 일정 : 2024년 10월 23일 오후2시 대법정)


소송 진행 중 법원은 면적기준과 상관없이 편의시설을 설치해야한다는 판결을 내렸다. 그리고 우리는 이러한 법원의 판결을 반영한 법률 개정을 강력하게 요구하였다. 하지만, 2022년 5월 보건복지부는 장애인등편의법 시행령에 편의시설 설치 의무를 기존 300제곱미터에서 50제곱미터로 변경시행하겠다고 발표했다. 입법예고 당시 장애인단체는 면적을 기준으로 편의시설 설치 의무에 예외를 두고 모든 시설에 의무를 적용하지 않는 것은, 장애인의 접근권을 합법화하는 악법으로 강력하게 면적기준 폐지를 주장하였다. 하지만, 입법예고 과정에서 장애인당사자와 장애인단체 등 수천명이 반대의견을 제출하였지만, 결국 법원의 판결도 무시한채 보건복지부는 사업주의 어려움을 핑계로 시행령 개정을 강행했다. 이에 국가가 법에서조차 면적을 기준으로 장애인이 아예 접근할 수 없는 시설을 만들고, 권리를 보장해야하는 법을 장애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법으로 악용하고 있다.  


유엔장애인권리협약에서 ’당사국은 장애인이 자립적으로 생활하고 삶의 모든 영역에 완전히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장애인이 다른 사람과 동등하게 도시 및 농촌지역 모두에서 물리적 환경, 교통, 정보통신 기술 및 체계를 포함한 정보통신, 그리고 대중에게 개방 또는 제공된 기타 시설 및 서비스에 대한 접근을 보장하는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또한 유엔장애인권리위원회는 ’시설물 접근권을 규정하고 있는 장애인등편의법에서 규모와 건축시기를 기준으로 일정기준 미만인 공중이용시설에 대해서는 법률을 적용하지 않는 것에 대하여 개선을 권고하였다. 


국제적인 기준이나 권고에도 오히려 시행령의 면적기준에 대한 문제를 전혀 고민하지 못하며, 장애인의 의견을 무시한 채 평등권의 기본적인 원칙조차 이해하지 못하는 국가에 대하여, 우리는 고 김순석 열사의 죽음이 헛되지 않도록 이동과 접근의 권리가 보장되는 그날까지 끊임없이 싸우고 외칠 것이다. 


세상에 권리를 침해받아도 되는 사람은 없다. 국가는 모든 국민의 평등한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의무와 책임이 있으며, 장애인도 대한민국의 국민이다. 사회는 누구에게나 평등해야하고, 어느 누구도 장애와 같은 다름으로 인해 출입할 수 없는 출입금지 구역이 있어서는 안된다. 

국가는 장애인의 평등한 접근 이동의 권리를 보장하라. 


2024년 9월 19일

사단법인 장애인차별금지추진연대


(연대단체)

장애해방열사_단, (사)전국장애인부모연대,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사)전국장애인야학협의회, 

한국피플퍼스트, (사)한국뇌병변장애인인권협회, (사)열린시민네트워크,

장애와인권발바닥행동, (사)장애여성공감, (사)한국장애인재활협회, 

(사)장애물없는생활환경시민연대, 공익인권변호사모임 희망을만드는법, 공익인권법재단 공감, 사단법인 두루, 재단법인 동천, 법무법인 디엘지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680 보도성명 241125 보도자료_장애인접근권 국가책임 대법원 판결촉구 탄원 서명 안내 ddask 2024.11.27 19:05:28 939
679 보도성명 241125 보도자료_ 11월27일 장애를 고려하지 않는 업무 배치와 강요가 차별이 아니라는 국가인권위원회를… ddask 2024.11.25 10:53:39 455
678 보도성명 241106 보도자료 [선고기일 12월 18일로 변경] 발달장애인 그림투표용지 2심 판결선고 기자회견 ddask 2024.11.06 11:19:00 452
677 보도성명 241105_보도자료_11월6일_발달장애인_그림투표용지_2심_판결선고_기자회견 ddask 2024.11.05 18:46:09 461
676 보도성명 241030 성명서_발달장애인 투표보조 차별구제소송 1심 승소 및 국가배상책임 항소 ddask 2024.10.31 19:07:16 536
675 보도성명 241024 보도자료_발달장애인 그림투표용지 보장 차별구제소송 발달장애인이 그린 그림 탄원서 전시 및 제출… ddask 2024.10.25 11:16:14 511
674 보도성명 241022 보도자료_ 10월24일 김용현 국방부 장관의 장애인 비하 발언, 차별적인 국방부장관 국가인권위원… ddask 2024.10.22 18:28:12 584
673 보도성명 20241021 장애인 접근권에 대한 국가책임, 대법원 공개 변론 기자 회견 ddask 2024.10.21 17:21:56 709
672 보도성명 20241009 발달장애인 투표보조 정당한 편의 미제공 차별구제청구소송 판결선고 기자회견 ddask 2024.10.09 22:06:07 666
671 보도성명 20241007 장애인 접근권에 대한 국가배상책임 공개변론 대법원 판결 촉구 1인 시위 ddask 2024.10.09 10:10:23 658
670 보도성명 240919_성명서_고_김순석_열사_40주기_장애인을_가로막는_거리의_턱_접근권_보장촉구 ddask 2024.09.19 11:03:15 849
669 보도성명 240908 보도자료_9월10일 숙박시설에서의 장애인객실 우선 예약 배정 거부 국가인권위 차별 진정 기각에 … ddask 2024.09.08 09:52:42 838
668 보도성명 240716_보도자료_7월18일 지체장애학생_통합학교_교육차별_진정_기자회견 ddask 2024.07.16 11:48:30 904
667 보도성명 240626 보도자료_6월28일 베트남 000항공사의 편의 미제공에 대한 차별 진정 기자회견 ddask 2024.06.26 11:03:40 961
666 보도성명 [240603] 보도자료 _ 장애인 유권자 권리 침해 즉각 시정하라! 충북 선거관리위원회의 장애인 차별 규탄… ddask 2024.06.08 08:54:56 1,030
665 보도성명 240507 보도자료_5월 10일 발달장애인 참정권 전문가 심포지엄 개최 ddask 2024.05.08 14:21:12 1,162
664 보도성명 240508_보도자료_진정서포함_5월10일_선거관리위원회의_발달장애인_유권자에_대한_투표보조_차별_진정_기자… ddask 2024.05.07 11:36:59 1,125
663 보도성명 20240429_모악랜드_진정기각_행정심판_청구_기자회견 ddask 2024.04.27 10:36:11 1,172
662 보도성명 240422 보도자료_4월 24일 장애인차별금지법 개정방안 토론회 ddask 2024.04.22 18:54:47 1,461
661 보도성명 240418 성명_인권위 천주교 사진 무단사용 진정 기각 결정 규탄 성명 ddask 2024.04.18 19:02:26 1,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