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425 보도자료_4월28일 조사관에 의한 성폭력 사건 묵인한 제주장애인권익옹호기관과 보건복지부 규탄 기자회견

  • [보도성명]
  • ddask
  • 2025.04.26 08:17:57
  • https://www.ddask.net/post/2571
  • Print
첨부파일

보 도 자 료

 

수 신 각 언론사 담당 기자

발 신 장애여성공감, 장애인차별금지추진연대

문의 : 장애여성공감 사무국장 유진아 010-5037-0328

장애인차별금지추진연대 이승헌 010-7479-1040)

 

권익옹호기관 조사관에 의한 성폭력 사건 묵인한

제주장애인권익옹호기관과 보건복지부 규탄 기자회견

 

 

1. 귀 언론사의 민주적 발전을 기원 드립니다.

 

2. 지난 325, 장애인 학대 예방과 피해자 지원을 위해 설립한 제주장애인권익옹호기관의 조사관에 의한 성폭력 사건이 언론보도를 통해 알려졌습니다. 이는 조사관이 지원자의 권한과 위치를 심각하게 이용한 사건입니다. 따라서 장애인권익옹호기관의 전면적인 운영개혁과 보건복지부가 옹호기관의 제도 운용에 대한 점검 및 재발 방지, 권리증대를 위한 실질적인 대책을 적극적으로 마련하도록 요구하는 규탄 기자회견을 하고자 합니다.

 

3. 귀 언론사의 많은 관심과 보도 요청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권익옹호기관 조사관에 의한 성폭력 사건 묵인한

제주장애인권익옹호기관과 보건복지부 규탄 기자회견

 

일시 : 2025428() 오후 2~3

장소 : 정부서울청사 본관 앞

공동주최 : 제주장애인권익옹호기관성폭력사건공대위, 장애여성공감, 장애인차별금지추진연대, 전국성폭력상담소협의회, 전국여성장애인폭력피해지원상담소및보호시설협의회, 한국여성장애인연합

 

기자회견 순서

사회

- 유진아 (장애여성공감 사무국장)

발언

- 진영림(제주장애인권익옹호기관성폭력사건공대위)

- 진성선(장애여성공감 장애여성독립생활센터숨 팀장)

- 배수지(한국여성장애인연합 전남지부 부설 성폭력상담소 소장)

- 이진희(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성평등위원장)

- 박김영희(장애인차별금지추진연대 상임대표)

성명서 낭독

기자회견 후 보건복지부 면담요청서 제출

 

 

공동 성명문

 

장애인권익옹호기관 조사관에 의한 성폭력 사건

제주장애인권익옹호기관과 운영법인

제주장애인권포럼은 책임 있게 대응하라!

 

장애인 인권침해 피해자에 대한 실효성 있는 지원을 위해 보건복지부, 여성가족부는

장애인권익옹호기관 운영 개편과 지원에 즉각 나서라!

 

지난 325, 장애인 학대 예방과 피해자 지원을 위해 설립한 제주장애인권익옹호기관(이하 옹호기관)의 조사관(이하 조사관)에 의한 성폭력 사건이 언론보도를 통해 알려졌다. 옹호기관은 장애인복지법 제59조의11(장애인권익옹호기관 설치 등)에 근거하여 장애인 학대 조사 및 상담 등을 주요 업무로 삼고 있으며 2017년 전국 20여 곳에 위탁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피해 장애인의 보호 및 피해 회복을 위해 지원해야 할 옹호기관의 조사관이 지원자의 권한과 위치를 이용한 심각한 사건이 발생하였다. 이에 옹호기관과 운영법인에 그 책임을 묻고, 보건복지부와 여성가족부가 인권침해 지원 현장에서 해야 할 역할을 요구한다.

 

해당 사건이 경찰신고를 통해 드러나고 언론에 보도된 후 옹호기관과 운영법인인 제주장애인권포럼은(이하 인권포럼) 조사관 개인의 일탈로 치부하며 조직적 책임을 외면하였다. 경찰 사건 접수 이후 옹호기관과 인권포럼은 조사관을 업무에서 배제하고 징계위원회를 열어 파면 조치를 진행했지만 당연한 징계 조치가 책임의 끝은 아닐 것이다. 지원자와 내담자 관계에서 어떠한 불평등한 위계가 발생했는지, 이를 관리·감독해야 할 조직의 운영구조와 역할에서 무엇이 부족했는지에 대한 성찰과 반성 속에서 재발 방지대책 논의와 공식적인 사과의 입장을 밝혔어야 한다. 장애여성 피해자들은 미성년자로 법적 보호자에 의한 방임 및 방치 등의 학대 혐의로 옹호기관의 지원을 요청했다. 조사관은 원가족과 주변인의 조력을 받기 어려운 열악한 피해자의 주변 상황을 충분히 인지할 수 있는 위치였고, 이를 철저히 이용하였다. 심지어 가장 안전하고 평등한 공간이어야 할 옹호기관의 상담실에서 지원을 받던 중 성폭력 피해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가해자의 거리낌 없는 폭력적인 행위가 가능한 상황에 대해 옹호기관은 개인의 일탈만으로 설명해선 안 된다.

 

옹호기관과 인권포럼은 장애여성의 재피해가 피해자를 지원하는 기관에서 발생한 점에 대해 책임감을 통감하고 조직적 책임을 충실히 이행해야 하지만 해당 사안을 방관하였다. 사건이 알려진 지 채 한 달이 지나지 않아 옹호기관 관장은 사직서를 제출하였으며, 조사관 징계와 파면 결정 이후 어떠한 조직적 성찰과 반성의 입장이 없다. 지난 328일 제주시민사회단체 및 피해자지원단체는 <제주장애인권익옹호기관의 장애인 성폭력을 규탄한다> 공동성명을 발표하며 옹호기관, 인권포럼, 제주도청, 보건복지부의 책임감 있는 태도를 요구하였으나 어떠한 답변도 받지 못하였다. 사건에 대해 가장 큰 책임과 역할을 수행해야 할 인권포럼은 옹호기관 관장의 사직서를 수리함으로써 책임 회피를 묵인하며 동참한 셈이다. 장애인 인권에 가장 앞장서 활동해야 하는 인권포럼이 면피용 조치에 그쳐서는 안 된다. 지역사회에서 영향력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인권운동을 해왔고 앞으로도 역할을 다해야 할 인권포럼은 조직적 점검과 반성을 통해 사건 해결의 최전선에 서서 책임을 다하여야 한다.

 

옹호기관의 관장 사직과 운영법인의 무응답이라는 답보 상태에서 지난 417일 제주도는 옹호기관 운영 위탁기관 공개모집 공고를 발표했다.1) 그러나 해당 사건은 장애인 옹호기관 운영 기관 변경으로 해소될 문제가 아니다. 지난해 보건복지부는 제주장애인옹호기관을 전국 첫 성과 평가에서 최우수 기관으로 선정하였다. 보건복지부가 선정한 최우수 기관에서 조사관에 의한 성폭력 피해가 발생한 것이다. 이번 사안을 통해 보건복지부는 옹호기관 운영을 각 지자체의 몫으로, 위탁 수행하는 기관의 책임으로 두었을 때의 한계를 바라보아야 한다. 2인 상담체계의 원칙이 지원 현장에서 왜 지켜지지 못했는지, 옹호기관 운영에 있어 인권적인 관점이 충분히 반영되고 수행되는지에 대한 실질적인 점검과 지원이 필요하다. 그 속에서 보건복지부는 옹호기관의 제도 운용에 대한 점검 및 재발 방지, 피해자 권리증대를 위한 실질적인 대책을 적극적으로 마련해야 한다.

 

해당 사안이 언론에 알려지고 난 이후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예지 국회의원(국민의힘)은 권익옹호기관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한 장애복지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발의 하였다. 본 개정안은 권익옹호기관이 장애인복지시설로 분류되지 않아 전문성 있는 종사자가 부족하고, 내부 운영 시스템에 대한 견제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라는 평가 속에 권익옹호기관을 장애인복지지설 중 하나로 명시할 것을 밝히고 있다. 그러나 지역사회 및 사회복지 시설, 거주시설 내에서 발생하는 학대 행위를 조사, 지원하는 권익옹호기관이 사회복지서비스 기관으로 위치를 옮겼을 때 제대로 된 역할을 할 수 있을지 의문이 든다. 또한 해당 사안은 종사자의 전문성 및 관리 감독의 부실로만 설명될 수 없다. 상담 지원을 위한 최소한의 원칙이 지켜지기 어려운 운영 및 예산의 문제, 지자체-운영법인 위탁운영이라는 한계적인 방식, 학대에 대한 개별 권익옹호기관의 자의적 해석 등은 피해자를 수동적이고 서비스를 받는 시혜적 위치에 놓이게 만든다. 이러한 구조적인 문제를 외면한 채 안정적인 보조금 지원과 내부 운영시스템에 대한 견제로만 초점이 맞춰지면 권익옹호기관의 복지시설화를 초래하고 이는 결국 지역사회에서의 장애인 학대에 대한 견제와 감시의 독립성은 훼손될 것이다.

 

해당 사안에 여성가족부의 책임도 간과할 수 없다. 2024년 여성가족부는 통합이 트렌드라고 하며 젠더폭력 피해자들의 효율적 연계와 관리를 말하며 통합상담소로의 통합을 강행하였다. 일방적인 추진과정에서 피해자 지원 현장의 불안과 우려는 삭제되었다. 심지어 여성가족부 장관은 20242월 이후 현재까지 공석이며 그러한 가운데 젠더폭력 피해자 지원 예산은 100억원 넘게 무참히 삭감되었다. 장애아동 청소년 성인권사업 폐지, 치료회복 프로그램 예산 삭감, 고용평등상담실 폐지, 도서관 성평등도서 퇴출 사건 등은 우리 사회 만연한 구조적 차별 및 소수자들을 향한 시혜적이고 낙인화된 혐오의 시선을 강화하였다. 열악한 쉼터운영과 제한적인 지원, 학대에 이르러서야 인정되는 젠더폭력 피해자 지원체계의 한계 속에서 장애여성 지원은 옹호기관의 문제 혹은 장애계의 문제로만 설명되었다. 장애여성 피해자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체계 구축과 학대 및 젠더폭력 피해에 대한 폭넓은 관점이 바로 서지 않고서는 옹호기관에서 발생한 성폭력 사건은 일상의 곳곳에1) 제주특별자치도 공고 제2025-1418호서 반복될 것이다. 여성가족부는 여성, 장애, 이주, 퀴어 등 소수자들을 향한 차별과 혐오를 강화하는 구조를 더 이상 방치해서는 안 된다. 무거운 책임 속에서 젠더폭력 피해 지원 및 성평등 정책에 대한 실질적 구축체계를 반드시 만들어가야 한다.

 

 

2025428

 

제주장애인권익옹호기관성폭력사건공대위(평화민주인권교육인, 제주여성인권상담소, 시설협의회 17기관, 사회협동조합 트멍, 장애와인권발바닥행동, 전국장애인이동권연대제주지부, 아름다운청소년이여는세상, 전국장애인부모연대 제주지부, ) 제주아이 특별한아이, 별난고양이꿈밭 사회적협동조합, 행복하게사회적협동조합, 서귀포시장애인부모회), 전국성폭력상담소협의회(132), 전국여성장애인폭력피해지원상담소및보호시설협의회(32), 한국여성장애인연합 외 소속지부 및 회원단체(12)

 

가족구성권연구소, 강서가족상담센터, 고양여성민우회, 공익인권변호사모임 희망을만드는법, 교육노동자현장실천, 나야장애인권교육센터, 대구여성주의그룹 나쁜페미니스트, 동서울여성회,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 여성인권위원회, )부산성폭력상담소, )아름다운청소년이여는세상, )전국장애인부모연대, 성평등한 청소년인권실현을 위한 전북시민연대, 소년의서, 어울림, 연극연습프로젝트, 연극집단 공외, 인권운동사랑방, 장애여성공감, 장애인차별금지추진연대,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성평등위원회, 전북장애인차별철폐연대, 전북평화와인권연대, 중증장애인지역생활지원센터, 진해장애인자립생활센터, 창작공동체무적의무지개, 피플퍼스트서울센터, 학생인권법과 청소년인권을 위한 청소년-시민 전국행동, 한걸음더, 한국뇌병변장애인인권협회, 한국성폭력상담소, 한국여성민우회,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한국장애포럼, 한국피플퍼스트, 형명재단

240개 단체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공지 [2025년 월간 장추련 9월호] 지난 여름은 뜨거웠습니다. ddask 2025.09.04 18:28:09 1,389
1085 문서 240730 인권위_정신의료기관의_병실_내_강박행위_시정할_것_권고 ddask 2024.08.20 06:54:06 1,052
1084 문서 240612 인권위_특별교통수단_준수사항_위반_시_과도하게_이용을_제한하는_규정은_시정해야 ddask 2024.08.20 06:53:29 1,041
1083 문서 240722 인권위_목발_사용_장애인의_크리스털_캐빈_케이블카_탑승을_제한하는_것은_장애인_차별 ddask 2024.08.20 06:49:54 1,043
1082 문서 240619 인권위_장기_비자의_입원환자의_인권_보호_위해_입원연장_심사_시_대면심사를_원칙으로_해야 ddask 2024.08.20 06:49:00 1,072
1081 보도성명 240716_보도자료_7월18일 지체장애학생_통합학교_교육차별_진정_기자회견 ddask 2024.07.16 11:48:30 1,041
1080 보도성명 240626 보도자료_6월28일 베트남 000항공사의 편의 미제공에 대한 차별 진정 기자회견 ddask 2024.06.26 11:03:40 1,105
1079 문서 240520 인권위_교정시설의_장애인_수용자에_대한_피의자_조사_시_조력받을_권리_보장해야 ddask 2024.06.08 09:40:14 1,201
1078 보도성명 [240603] 보도자료 _ 장애인 유권자 권리 침해 즉각 시정하라! 충북 선거관리위원회의 장애인 차별 규탄… ddask 2024.06.08 08:54:56 1,180
1077 문서 240430 장애_등_취약계층_외국인에_대한_건강보험료_결손처분_사유_확대_및_간이귀화_신청요건_완화_권고 ddask 2024.05.09 11:21:09 1,354
1076 보도성명 240507 보도자료_5월 10일 발달장애인 참정권 전문가 심포지엄 개최 ddask 2024.05.08 14:21:12 1,320
1075 보도성명 240508_보도자료_진정서포함_5월10일_선거관리위원회의_발달장애인_유권자에_대한_투표보조_차별_진정_기자… ddask 2024.05.07 11:36:59 1,275
1074 문서 240402 파크골프협회_동호회_구성_비율_개선_권고,_OO시파크골프협회_수용 ddask 2024.05.05 16:08:01 1,294
1073 보도성명 20240429_모악랜드_진정기각_행정심판_청구_기자회견 ddask 2024.04.27 10:36:11 1,327
1072 보도성명 240422 보도자료_4월 24일 장애인차별금지법 개정방안 토론회 ddask 2024.04.22 18:54:47 1,622
1071 보도성명 240418 성명_인권위 천주교 사진 무단사용 진정 기각 결정 규탄 성명 ddask 2024.04.18 19:02:26 1,377
1070 보도성명 240416 보도자료_4월18일 교육청_공무원_임용차별_불합격처분취소_행정소송_기자회견 ddask 2024.04.17 11:33:00 1,345
1069 보도성명 240411_보도자료_4월16일_KTX-산천 장애인 이동권 차별진정 각하에 대한 행정심판 청구 기자회견 ddask 2024.04.12 10:13:23 1,382
1068 보도성명 240411_보도자료_4월16일_대전_지하철역_CCTV_미설치_규탄_기자회견 ddask 2024.04.11 17:56:44 1,439
1067 보도성명 240307_보도자료_장애인_버스정류소_이용_차별구제청구소송_첫번째_기일_기자회견 ddask 2024.03.06 18:30:32 1,520
1066 보도성명 [240220]_보도자료_발달장애인_유권자_누구나_참여할_수_있는_선거_모의투표_시행을_서울선거관리위원회에_… ddask 2024.02.19 18:40:27 1,5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