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1219 보도자료 공중이용시설에 대한 장애인차별구제 3심 선고 기자회견

  • [보도성명]
  • ddask
  • 2024.12.17 10:31:08
  • https://www.ddask.net/post/2540
  • Print
첨부파일

 

/ / /

공중이용시설에 대한

장애인차별구제 3심 선고 기자회견

수신처: 각 언론사 및 장애인단체, 사회인권단체

배포일자: 2024. 12. 17.

(경 유):

보도일자: 2024. 12. 19.

담당자: 이승헌 활동가 (010-4458-0420)

페이지: p3

전화: 02)732-3420/ 전송: 0303-3442-1330 / www.ddask.net / ddask420@naver.com

 

대법원은 장애인 접근 외면한

국가의 책임을 엄중히 판결하라

공중이용시설에 대한 장애인차별구제 3심 선고 기자회견

 

일시 : 20241219() 오후 3

장소 : 대법원 정문 앞

 

()장애인차별금지추진연대, 1577-1330 장애인차별상담전화 평지

 

<기자회견 순서>

- 사회 : 이승헌 (장애인차별금지추진연대 활동가)

- 선고 결과 : 한상원 (소송대리인. 공익법단체 두루 변호사)

연대발언 1: 서기현 (서울장애인차별철폐연대 공동대표)

- 연대발언 2: 김남진 (장애물없는생활환경시민연대 사무국장)

- 마무리발언: 박김영희 (장애인차별금지추진연대 상임대표)

*선고: 오후2시 실시간 온라인 중계

 

1. 장애차별 없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함께하는 귀 기관의 건승을 기원합니다.

 

2. 장애인차별금지추진연대(이하 장추련)는 장애인차별금지법의 제정활동을 위해 구성된 장애인권단체 및 법률단체의 연대체로서 2003년부터 활동을 시작하여 현재 장애인차별금지법과 관련한 각종 정책활동과 함께 부설기관으로 ‘1577-1330 장애인차별상담전화 평지상담센터를 전국 41개 지역에서 운영하고 있는 장애인 권리옹호 단체입니다.

 

3. 2008년 장애인차별금지법이 시행된지 16년이 지났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장애인은 식당이나 편의점 등 기본적인 생활편의시설조차 접근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이에 2018년 장애인의 접근권을 제대로 보장하지 못하는 국가와 사업주의 책임을 묻기 위해 소송을 제기하였습니다. 6년에 걸쳐 진행된 소송 과정에서 투썸플레이스와 신라호텔은 빠르게 법원의 조정을 받아들였고, 본안소송까지 진행했던 GS리테일의 경우에도 장애인편의시설을 설치해야 한다는 1심판결의 결과를 받아들이면서 더 이상 항소하지 않았습니다.

 

4. 하지만, 이번 소송에는 중요한 피고가 있었습니다. 장애인의 접근권이 보장되지 않는 상황을 방관하면서 장애인등편의법과 같은 관련법 시행령에 면적을 기준으로 편의시설 설치 의무 예외조항를 두고, 결국 50제곱미터이하의 소규모 생활사업장을 합법적으로 장애인 접근불가 시설로 만들어가는 국가가 있었습니다. 소송의 1심과 2심에서 법원은 장애인의 접근권과 관련하여 사업주체의 책임은 명확히 차별행위로 판단하였지만, 국가의 책임을 묻기는 어렵다는 결정을 내렸습니다.

 

5. 그러나 마지막 대법원 판결을 앞두고 대법원은 20241023일 이례적으로 장애인의 접근권 보장에 대한 국가의 배상책임을 판단하고자 공개변론을 진행하였습니다. 이는 장애인의 접근권에 대한 국가책임을 결정하지 않았던 1, 2심 판결의 결과에 대하여 장애인의 권리를 신중하게 판단하고자 하는 대법원의 의지였으며 실제 공개변론 당시 많은 대법관들의 질문과 의견은 장애인의 접근권이 사실상 침해되었다는 내용들이었습니다.

 

6. 국가는 지금까지 장애인이 접근할 수 없는 일상의 공간들로 인해 밥 한끼, 차 한잔, 그리고 집 근처 편의점조차 자유롭게 이용할 수 없는 상황들을 그저 방관하면서 장애인들에게 참고 견디기라고만 이야기해왔습니다. 그리고 매일매일 새로운 상점들이 도심을 채워가고 있고 장애인차별금지구역은 계속해서 늘어만 갔습니다.

 

7. 이제는 잘못된 법을 시행한 국가가 책임을 져야 합니다. 장애인 접근의 권리에 대해서 계획도 법의 집행도 무엇하나 제대로 고민하지 않고, 현재 3%, 5%도 접근조차 가능하지 않는 공중이용시설의 현실에서 국민의 한사람인 장애인의 권리를 오랜시간 무시해온 국가의 책임을 반드시 물어야 합니다.

 

8. 대한민국 헌법 제10조에서는 모든 국민은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가지며, 행복을 추구할 권리를 가진다. 국가는 개인이 가지는 불가침의 기본적 인권을 확인하고 이를 보장할 의무를 진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장애인의 기본권을 침해하며 헌법에서의 의무를 이행하지 않은 국가에 대하여, 장애를 가진 국민의 권리를 지켜낼수 있는 대법원의 판단을 기다리겠습니다. 국민의 권리에 대한 국가의 책임을 묻는 결과에 많은 분들의 관심을 부탁드립니다.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공지 [2025년 월간 장추련 9월호] 지난 여름은 뜨거웠습니다. ddask 2025.09.04 18:28:09 761
421 문서 241217 [보도자료] 은행 대출업무 시 자필이 불가능한 장애인에게 공증을 요구하는 차별적 관행 바로잡아야 ddask 2025.02.26 09:00:54 218
420 문서 241212 [보도자료]_중증발달장애 아동을 정신병원에 동의입원시킨 행위는 신체의 자유 침해 ddask 2025.02.26 08:59:54 251
419 문서 ★긴급 탄원요청★ 발달장애인도 그 누구도 장애인콜택시 앞좌석(운전석 옆자리)에 탈 수 있는 자기결정과 선택의… ddask 2025.01.02 20:43:44 269
418 문서 241128 인권위_상업시설 장애인 화장실 미설치 ddask 2024.12.02 08:23:52 409
417 문서 241121 인권위_정신의료기관 입원환자 거소투표권 보장 관련 법 개정 권고 ddask 2024.12.02 08:23:11 400
416 문서 241118 인권위_공기업 면접시험 시 청각장애인 차별 ddask 2024.12.02 08:22:21 390
415 문서 241023 인권위_질병으로 의사 표현 어려운 수용자에 대한 의료 조치 미흡은 인권 침해 ddask 2024.12.02 08:21:42 404
414 문서 240919 인권위_경찰 조사 시 시각장애인의 진술을 돕기 위한 제도 개선 및 장애유형 고려한 지원제도 안내… ddask 2024.12.02 08:21:06 396
413 문서 240910 인권위_장례식장 빈소에 장애인 접근 편의시설 설치해야 ddask 2024.12.02 08:20:26 394
412 문서 240906 인권위_전동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저상버스 승차 거부 관련 재발방지 대책 마련 권고, 오산시 수용 ddask 2024.12.02 08:19:43 399
411 문서 240902 인권위_청각장애인에 대한 차량 대여 거부는 차별 ddask 2024.12.02 08:18:57 391
410 문서 240823 인권위_온라인 학습자료 제작 시 시각장애인 접근성 고려해야 ddask 2024.12.02 08:17:31 392
409 문서 240821 인권위 지적장애인이라는 이유로 은행이 대출을 거부하는 관행 바로잡아야(24-진정-0175900) ddask 2024.08.23 06:35:05 1,057
408 문서 240801 인권위_시각장애_수용자가_‘흰_지팡이’_등_장애인보조기구_사용할_수_있도록_편의_제공해야 ddask 2024.08.20 06:54:42 1,062
407 문서 240730 인권위_정신의료기관의_병실_내_강박행위_시정할_것_권고 ddask 2024.08.20 06:54:06 1,032
406 문서 240612 인권위_특별교통수단_준수사항_위반_시_과도하게_이용을_제한하는_규정은_시정해야 ddask 2024.08.20 06:53:29 1,024
405 문서 240722 인권위_목발_사용_장애인의_크리스털_캐빈_케이블카_탑승을_제한하는_것은_장애인_차별 ddask 2024.08.20 06:49:54 1,022
404 문서 240619 인권위_장기_비자의_입원환자의_인권_보호_위해_입원연장_심사_시_대면심사를_원칙으로_해야 ddask 2024.08.20 06:49:00 1,051
403 문서 240520 인권위_교정시설의_장애인_수용자에_대한_피의자_조사_시_조력받을_권리_보장해야 ddask 2024.06.08 09:40:14 1,180
402 문서 240430 장애_등_취약계층_외국인에_대한_건강보험료_결손처분_사유_확대_및_간이귀화_신청요건_완화_권고 ddask 2024.05.09 11:21:09 1,3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