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02] 성명_장애인의 자기결정권을 침해한 공직선거법에 대한 헌법소원 심판청구 기각결정을 규탄한다!

  • [보도성명]
  • ddask
  • 2020.09.08 16:20:48
  • https://www.ddask.net/post/1872
  • Print
첨부파일

/ /

장애인차별금지추진연대

장애인의 자기결정권을 침해한 공직선거법에 대하여

합헌 결정한 헌법재판소 결정을 규탄한다!

수신처: 각 언론사 및 장애인단체, 사회인권단체

배포일자: 2020. 6. 2

(경 유):

보도일자: 2020. 6. 2

담당자: 이승헌 활동가 (010-7479-1040)

페이지: 2p

대표: 박김영희, 박명애, 변경택, 변승일, 윤종술

주소: (03086) 서울특별시 종로구 동숭길 25, 유리빌딩5508

전화: 02)732-3420/ 전송: 02)6008-5115 / www.ddask.net / ddask420@naver.com

 

장애인이면 내 의사와 상관없이

누군가 나의 비밀투표를 지켜봐도 된다는

헌법재판소의 낡은 인권의식과 차별적인 결정을 규탄하며

언제나 그랬듯 우리는 우리의 힘으로 이 차별을 바꿔나갈 것이다

 

 

지난 제19대 대통령선거일인 201759, 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없는 뇌병변 장애인이 활동지원사 1인의 도움만 받아 투표하려다가 공직선거법 제157조 제6항 후단(시각 또는 신체의 장애로 인하여 자신이 기표할 수 없는 선거인은 그 가족 또는 본인이 지명한 2인을 동반하여 투표를 보조하게 할 수 있다)에 따라 제지당하였고 결국 투표하지 못하였습니다.

 

이에 피해자와 장애인차별금지추진연대는 대리인단(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소수자인권위원회)과 함께 201785, ‘선관위의 제지 행위 및 공직선거법 제157조 제6항 후단이 장애인의 선거권,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 평등권을 침해한다며 헌법소원 심판을 청구하였습니다. (2017헌마867)

 

헌법재판소는 3년 가까이 지난 2020527가족이 아닌 경우 장애인 투표보조 2인 동반을 규정한 공직선거법 제157조 제6항 후단이 장애인의 선거권을 침해하지 않는다며 헌법소원심판 청구를 기각하였습니다. 그러면서 기각 이유로 거동이 불편한 중증장애인들은 장애인 거주시설의 관계자들이나 보조인들로부터 영향을 받기 쉬워 중증장애인의 선거권 행사를 대리투표로 악용하는 선거범죄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호 견제가 가능한 2명이 되어야 객관적이고 공정하다고 밝혔습니다. 그리고 투표보조인 1인만 동반할 시 절차를 엄격히 하는 방법도 고려해볼 수 있지만 선거의 공정성을 해칠 가능성을 완전히 차단할 수는 없고, 오히려 투표보조 제도를 활용하는 것을 어렵게 만들어 중증장애인들이 선거권 행사를 포기하게 될 수 있으므로, 이를 현행 조항과 동일한 수준으로 입법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대안이라고 볼 수 없다고 하였습니다.

 

오늘 우리는 헌법재판소 결정에 경악을 넘어 분노를 금할 수 없습니다. 헌법재판소는 장애인은 스스로 자기의사를 결정할 수 없는 존재이고, 누군가의 범죄대상이 될 가능성이 크다고 단정하였습니다. 장애인을 그저 무능력한 존재로 여기는 사고방식에서 헌법재판소는 장애인이면 내 의사와 상관없이 내가 원하지 않는 누군가가 나의 비밀투표를 지켜봐도 괜찮다고 판단하였습니다. 헌법재판소의 낡은 인권의식에 우리는 분노를 금할 길이 없으며 장애인 차별을 두둔하면서 오히려 장애인은 무능력하다는 편견을 조장하고 있는 헌법재판소를 강력히 규탄합니다.

 

물론 소수의견으로 투표를 통한 정치적 의사표현은 가장 내밀한 영역에 해당하므로, 무엇보다 선거인은 자신이 신뢰할 수 있는 사람을 스스로 투표보조인으로 선정할 수 있어야 한다.’고 하였지만 다수의 비장애인이 중심인 이 사회에서 헌법재판소의 결정 또한 낡은 인권의식을 가진 다수의 의견에 따라 결국 소수자인 장애인의 인권은 배제당하였고 차별당한 것입니다.

 

우리는 이번 헌법재판소의 결정을 강력히 규탄하며 언제나 그랬듯 우리는 우리의 힘으로 이 차별을 바꿔 나갈 것입니다.

 

국민들의 향상되는 인권과 함께 살아 숨셔야 하는 헌법을 위해서라도 차별받고 있는 우리가 이 사회를 바꿔나가겠습니다.

 

우리들의 정당한 투쟁에 많은 분들이 함께 지켜봐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투쟁!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공지 [2025년 월간 장추련 9월호] 지난 여름은 뜨거웠습니다. ddask 2025.09.04 18:28:09 1,393
825 문서 20200211 인권위_ 65세 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 중단 긴급 구제 및 정책 권고 결정(장애차별조사1과)-… ddask 2020.09.17 13:51:00 1,522
824 문서 20191230 인권위 결정문_ “국회의원들의 장애인 비하 및 차별적 표현 주의” 촉구(장애차별조사1과)-게… ddask 2020.09.17 13:50:15 1,534
823 문서 20191230 인권위_“국회의원들의 장애인 비하 및 차별적 표현 주의” 촉구(장애차별조사1과)-게재 ddask 2020.09.17 13:49:51 1,455
822 문서 20191224 인권위_뇌병변 장애인 인감증명발급거부는 장애인차별 ddask 2020.09.17 13:48:11 1,595
821 문서 20191114 인권위_00정신병원 원장, 소속의사 등 검찰 고발 ddask 2020.09.17 13:47:50 1,416
820 문서 20191101 인권위_발달장애를 이유로 학생승마체험 프로그램 참여 제한은 차별 ddask 2020.09.17 13:47:26 1,431
819 문서 20191030 인권위_지방선거 청각장애인 수어통역 서비스 개선 ddask 2020.09.17 13:47:04 1,411
818 문서 20191030 인권위_정당내 선거시 장애인에 대한 편의미제공은 차별 ddask 2020.09.17 13:46:02 1,418
817 문서 20191024 인권위_시각장애인 보조견 음식점 출입거부는 차별(장애차별조사1과)-게재 ddask 2020.09.17 13:43:24 1,454
816 문서 20191024 인권위_구치소 교도관의 장애인 수용자 폭행 혐의에 대해 검찰에 수사의뢰(장애차별조사1과)-게… ddask 2020.09.17 13:42:43 1,508
815 문서 20191022 인권위_발달장애학생의 도전적 행동 지원을 위한 정책권고(장애차별조사1과)-게재 ddask 2020.09.17 13:41:28 1,365
814 문서 191014 인권위_만65세 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 중단 긴급구제 결정(장애차별조사1과)-게재 ddask 2020.09.17 13:40:55 1,414
813 문서 20190927 인권위_ 뇌전증 장애인 체육활동 참여 시 진단서와 보호자 동행 요구는 차별!(장애차별조사1과… ddask 2020.09.17 13:40:22 1,405
812 문서 20190923 인권위_“정부는 장애인이 자립하여 살 수 있도록 정책 주도해야”(장애차별조사2과)-게재 ddask 2020.09.17 13:39:55 1,348
811 문서 20190917 인권위_ “장애인거주시설 퇴소 시 당사자의 자기결정권 및 선택권 존중해야”(장애차별조사2과)… ddask 2020.09.17 13:37:40 1,469
810 문서 20190830 인권위_ 발달장애인 수영장 이용 시 동성보호자 동반 요구는 차별(장애차별조사1과)-게재 ddask 2020.09.17 13:37:03 1,472
809 문서 20190826 인권위_65세 이상 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 보장을 위한 의견표명(장애차별조사1과)-게재 ddask 2020.09.17 13:36:33 1,286
808 문서 20190626 인권위_정신장애인 회복, 동료?가족?전문가 등 다양한 자원 필요!(장애차별조사2과) ddask 2020.09.17 13:35:59 1,297
807 문서 20190619 인권위_정신장애인 사회복귀와 회복 위해 지역사회 서비스 확대해야 ddask 2020.09.17 13:35:27 1,360
806 문서 20190521 인권위_시,청각장애인의 한국영화 향유권 보장 위한 의견표명 ddask 2020.09.17 13:34:21 1,4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