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710] 보도자료_7월12일 장애인차별상전화 개설 10주년 기념행사

  • [보도성명]
  • ddask
  • 2020.09.08 14:21:12
  • https://www.ddask.net/post/1841
  • Print
첨부파일

/ / /

장애인차별금지추진연대

1577-1330 장애인차별상담전화 평지

개설 10주년 기념행사

수신처: 각 언론사 및 장애인단체, 사회인권단체

발표일자: 2019. 7 10

(경 유):

보도일자: 2019. 7. 12

담당자: 이승헌 활동가 (010-7479-1040)

페이지: 2

주소: (03086) 서울시 종로구 동숭길 25(동숭동 1-140 ) 유리빌딩 5508

전화: 02)732-3420/ 전송: 02)6008-5115 / www.ddask.net / ddask420@hanmail.net">ddask420@naver.com

1577-1330 장애인차별상담전화 평지

개설 10주년 기념행사

 

일 시 : 2019. 7. 12() 오후 2

장 소 : 국가인권위원회 10층 배움터

주 최 : 장애인차별금지추진연대

부설 1577-1330 장애인차별상담전화 평지

*참가하신분들에게 소정의 기념품을 드립니다.

*화환은 정중히 거절하며 후원은 기쁘게 받겠습니다.

(국민은행 752601-04-201534 장애인차별금지추진연대)

*주차공간은 협소함으로 대중교통을 꼭 이용해주시기 바랍니다.

 

1. 장애차별 없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함께하는 귀 기관의 건승을 기원합니다.

 

2. 장애인의 완전한 사회참여와 평등권 실현을 위해 전 장애계의 피와 땀이 모아져 2008<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었습니다. 그러나 장애인차별금지법 시행과 함께 장애인당사자의 차별에 대한 문의와 지원요청이 증가하고 있었지만 제대로 된 권리구제 방법들이 마련되지 않았습니다.

 

3. 이에 장애인차별금지법이 사회에서 실효성 있는 법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당사자와 가장 가까운 곳에서 차별에 대응하기 위하여 장애인차별금지추진연대(이하 장추련)에서 부설기관으로 20097151577-1330 장애인차별상담전화 평지(이하 평지)를 개설하게 되었으며 올해가 개설 10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4. 현재 평지는 전국 53개 상담소로 운영되고 있으며 장애인차별금지법을 통한 권리옹호에 대한 교육사업 등과 함께 차별상담에 대한 권리구제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권리구제 사업에서는 대표적으로 장애인차별금지법에 따른 시정기구인 국가인권위원회를 통한 진정이 있으며 현재 장애인 활동지원 24시간 보장’, ‘경기도 특별교통수단 운영규정에서의 차별금지조항 전면삭제’, ‘성인장애인에 대한 놀이공원측의 보호자동반 차별규정 삭제’, ‘까페, 편의점 등 생활편의시설 접근 및 이용에 대한 차별등이 진정되어 진행 중에 있습니다.

 

5. 차별상담을 통한 공익소송의 경우에는 평지 법률지원 자문변호사들과 함께 에버랜드 시각장애인 놀이기구 탑승금지 관련 차별구제청구소송’, ‘시청각 장애인 영화관람에 대한 정당한 편의제공에 대한 차별구제청구소송’, ‘지하철역사 리프트 대신 승강기 설치 차별구제청구소송’, ‘까페, 편의점 등 공중이용시설 이용 및 접근에 대한 차별구제청구소송등이 진행중에 있습니다.

 

6. 또한 선거에서 장애인당사자의 자기결정권을 훼손하고 있는 공직선거법 내용과 성년후견제도에서의 성년후견유형 폐지에 대한 헌법소원도 진행 중에 있습니다.

더불어 매년 장애인의 권리에 대한 모니터링 연구사업 등을 통하여 정책 및 제도개선 사업을 꾸준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2019년에는 누구도 배제되지 않는 행정복지센터 만들기를 통한 행정복지센터(구 동사무소) 이용과 접근에 대한 모니터링 연구사업을 전국적으로 진행하고 있기도 합니다.

 

7. 이처럼 장애인의 권리옹호를 위한 지난 10년의 활동을 이번 10주년 기념행사를 통하여 돌아보고 앞으로 걸어갈 길을 다짐하는 소중한 자리를 712() 오후 2시 국가인권위원회 배움터(건물10)에서 갖고자 하오니 많이 오셔서 다음 10년을 향해 나아갈 평지를 격려해주세요.

 

참고로 이날 기념행사에는 최영애 국가인권위원회 위원장, 최경숙 한국장애인개발원 원장, 변경택 열린네트워크 대표, 최용기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회장님의 축하인사와 함께 장애인법연구회민들레수어모임의 축하 수어공연, 그리고 지난 10년의 활동을 담은 영상 등을 상영할 예정입니다. <>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공지 [2025년 월간 장추련 9월호] 지난 여름은 뜨거웠습니다. ddask 2025.09.04 18:28:09 1,534
826 문서 20200213 인권위_ 장애인 체육선수 실태조사 결과발표(스포츠인권특별조사단)-게재 ddask 2020.09.17 13:51:22 1,608
825 문서 20200211 인권위_ 65세 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 중단 긴급 구제 및 정책 권고 결정(장애차별조사1과)-… ddask 2020.09.17 13:51:00 1,534
824 문서 20191230 인권위 결정문_ “국회의원들의 장애인 비하 및 차별적 표현 주의” 촉구(장애차별조사1과)-게… ddask 2020.09.17 13:50:15 1,547
823 문서 20191230 인권위_“국회의원들의 장애인 비하 및 차별적 표현 주의” 촉구(장애차별조사1과)-게재 ddask 2020.09.17 13:49:51 1,468
822 문서 20191224 인권위_뇌병변 장애인 인감증명발급거부는 장애인차별 ddask 2020.09.17 13:48:11 1,610
821 문서 20191114 인권위_00정신병원 원장, 소속의사 등 검찰 고발 ddask 2020.09.17 13:47:50 1,429
820 문서 20191101 인권위_발달장애를 이유로 학생승마체험 프로그램 참여 제한은 차별 ddask 2020.09.17 13:47:26 1,444
819 문서 20191030 인권위_지방선거 청각장애인 수어통역 서비스 개선 ddask 2020.09.17 13:47:04 1,425
818 문서 20191030 인권위_정당내 선거시 장애인에 대한 편의미제공은 차별 ddask 2020.09.17 13:46:02 1,433
817 문서 20191024 인권위_시각장애인 보조견 음식점 출입거부는 차별(장애차별조사1과)-게재 ddask 2020.09.17 13:43:24 1,468
816 문서 20191024 인권위_구치소 교도관의 장애인 수용자 폭행 혐의에 대해 검찰에 수사의뢰(장애차별조사1과)-게… ddask 2020.09.17 13:42:43 1,522
815 문서 20191022 인권위_발달장애학생의 도전적 행동 지원을 위한 정책권고(장애차별조사1과)-게재 ddask 2020.09.17 13:41:28 1,377
814 문서 191014 인권위_만65세 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 중단 긴급구제 결정(장애차별조사1과)-게재 ddask 2020.09.17 13:40:55 1,423
813 문서 20190927 인권위_ 뇌전증 장애인 체육활동 참여 시 진단서와 보호자 동행 요구는 차별!(장애차별조사1과… ddask 2020.09.17 13:40:22 1,417
812 문서 20190923 인권위_“정부는 장애인이 자립하여 살 수 있도록 정책 주도해야”(장애차별조사2과)-게재 ddask 2020.09.17 13:39:55 1,359
811 문서 20190917 인권위_ “장애인거주시설 퇴소 시 당사자의 자기결정권 및 선택권 존중해야”(장애차별조사2과)… ddask 2020.09.17 13:37:40 1,481
810 문서 20190830 인권위_ 발달장애인 수영장 이용 시 동성보호자 동반 요구는 차별(장애차별조사1과)-게재 ddask 2020.09.17 13:37:03 1,487
809 문서 20190826 인권위_65세 이상 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 보장을 위한 의견표명(장애차별조사1과)-게재 ddask 2020.09.17 13:36:33 1,304
808 문서 20190626 인권위_정신장애인 회복, 동료?가족?전문가 등 다양한 자원 필요!(장애차별조사2과) ddask 2020.09.17 13:35:59 1,313
807 문서 20190619 인권위_정신장애인 사회복귀와 회복 위해 지역사회 서비스 확대해야 ddask 2020.09.17 13:35:27 1,375